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류 면세한도 2025 변경기준 완벽 정리

by 빌리언 스토어 2025. 5. 20.
반응형

2025년 3월부터 주류 면세 한도 기준이 바뀐 거, 혹시 알고 계셨어요?
예전처럼 ‘두 병까진 괜찮겠지~’ 하는 식의 계산은 이제 통하지 않아요.
오늘은 이 변경 사항을 아주 쉽게, 아주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괜히 몇 만 원 세금 더 내지 마시고, 기분 좋게 입국하세요

 

2025년 3월부터 바뀐 면세 기준 핵심은 ‘병 수 폐지’

가장 큰 변화는 이거예요. 이제 병 수 제한이 없습니다.
예전엔 2병까지만 면세였잖아요? 지금은 병 수는 얼마든지 상관없어요.
이제 중요한 건 두 가지 기준입니다.

  • 총 용량 2리터 이하
  • 총 가격 400달러 이하

이 두 가지만 넘지 않으면 몇 병을 사든 상관없다는 거죠.
예를 들어, 와인 750ml짜리 2병에 위스키 500ml 1병을 사면 총 2리터잖아요?
가격이 400달러 안 넘으면 무조건 면세예요.

다양한 주종을 조합할 수 있으니 주류 애호가 입장에선 너무 반가운 변화예요.
근데 반대로 생각하면, 이 두 기준 중 하나라도 넘기면 바로 세금 폭탄이라는 얘기이기도 해요.

 

이건 되고, 이건 안 돼요 – 예시로 쉽게 이해하는 면세 범위

말로만 하면 헷갈리니까, 예시 들어볼게요.

  • OK 예시
    • 750ml 와인 2병 + 500ml 위스키 1병 → 총 2리터, 400달러 이하 → ✅ 면세 가능
    • 330ml 캔맥주 6캔 → 총 1.98리터, 400달러 이하 → ✅ 면세 가능
    • 사케 1.8L 1병 (가격 350달러) → ✅ 면세 가능
  • NO 예시
    • 700ml 위스키 3병 → 총 2.1리터 → ❌ 용량 초과
    • 750ml 위스키 1병 (가격 500달러) → ❌ 가격 초과 → 전체 가격 기준으로 과세됨

중요한 포인트
용량을 넘기면 "초과된 용량만 과세"가 아니라, 전체 주류가 과세 대상이 돼요.
가격도 마찬가지예요. 한도가 넘으면 전체 술에 대해 세금이 붙습니다.

 

초과하면? 자진신고가 무조건 이득이에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그냥 넘어가면 되겠지’ 하는 생각이에요.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면세 한도를 넘겼을 땐 무조건 자진신고하는 게 이득이라는 거예요.

왜냐고요?

  • 자진신고하면 최대 15만 원 한도 내에서 관세의 30%를 감면받을 수 있어요.
  • 반대로 걸리면 가산세 40% 붙고요,
  • 2년 내 2회 이상 적발되면 가산세가 60%까지 올라가요.

저도 한 번 안 신고했다가, 원래 내야 할 세금보다 훨씬 더 낸 적 있어요.
그 뒤로는 무조건 자진신고 합니다.
세금은 낼 땐 내더라도, 덜 내는 게 이득이잖아요?

 

입국장 면세점에서 산 술도 면세 범위 안에 들어갑니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게 이 부분이에요.
입국장 면세점에서 산 국산 술은 "국내에서 산 거니까 괜찮겠지?" 하시는데요,
아니에요! 입국장 면세점 구매분도 면세 한도에서 먼저 차감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 입국장 면세점에서 국산 위스키 1리터 구매
    → 그럼 해외에서 사올 수 있는 건 1리터만 남는 거예요.
    → 이걸 모르고 2리터 채워오면 초과예요. 세금 붙습니다.

요건 진짜 잘못 알고 계신 분들 많아요. 꼭 기억해두세요!

 

나라마다 다른 주류 반입 기준, 이건 따로 확인하셔야 해요

이번엔 반대 상황, 해외에서 다른 나라로 입국할 때 얘기예요.
한국 기준만 알고 다른 나라 갔다가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어요.

국가별로 다 다릅니다:

  • 괌: 3.7리터
  • 미국: 1리터 (21세 이상)
  • 일본: 760ml × 3병 (총 2.28L)
  • 중국: 12% 이상 주류 1.5리터 이하
  • 필리핀: 2병, 총 1.5리터, 가격 10,000페소 이하
  • 호주: 2.25리터

중요한 건, 그 나라의 기준이 ‘절대 기준’이라는 점이에요.
“한국에선 되던데요~” 소용 없습니다.
출국 전에 꼭! 해당 국가 세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술 구매 시 꿀팁 – 아는 만큼 아낀다

주류 면세 기준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해도, 조금만 더 똑똑하게 구매하면 더 이득이에요.

  • 온라인 면세점 활용하기
    → 할인 폭이 큽니다. 미리 계산 가능하고, 줄도 안 서요.
  • 영수증 챙기기
    → 세관 신고 시 꼭 필요해요. 없으면 괜히 설명 길어지고 꼬입니다.
  • 다양한 술을 소량씩 나눠서 사기
    → 예를 들어 와인 750ml + 사케 1.2L 이런 식으로 조합하면 면세 최대한 활용 가능

진짜 술 좋아하신다면, 전략적으로 구매해보세요.
단순히 ‘뭐 마실까’가 아니라 ‘어떻게 사야 절세할까’가 포인트입니다.

 

 핵심 요약 – 이건 꼭 기억해두세요!

  1. 2025년 3월부터 주류 면세 기준은 '용량 2L + 가격 400달러 이하'
  2. 병 수 제한은 완전히 사라졌어요
  3. 한도 초과 시, 자진신고하면 감면 혜택 → 미신고 시 가산세 폭탄
  4. 입국장 면세점 제품도 면세 한도에 포함됩니다
  5. 각국의 반입 기준은 다르므로, 여행 전 반드시 확인 필수
  6. 온라인 면세점 + 영수증 + 전략적 조합 = 현명한 술 쇼핑 완성

다음 여행 때는 이 정보 다 기억하고 가세요.
술은 즐겁게, 면세는 정확하게.
저처럼 술 때문에 세금 내고 기분 상하지 마시고, 똑똑한 여행 하시길 바랄게요!

 

 

 

근로장려금 신청자격부터 신청방법까지

근로소득이 있지만 소득이 적은 가구를 위한 근로장려금 제도가 2025년에도 계속됩니다. 특히 올해는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이 상향되어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

oobillion.com

 

 

2025 전기차 보조금 최대 669만원 받기

목차2025 전기차 보조금 제도 핵심 요약차량별·지역별 보조금 총정리변경된 지원 기준과 추가 인센티브빠르게 지역별 보조금 확인하는 방법전기차 구매 전 꼭 체크해야 할 리스트2025 전기차 보

oobillion.com

 

 

이재명 공약과 조기대선 관련 수혜주

목차이재명 후보 조기대선 주요 공약 살펴보기분야별 핵심 공약 정리 (AI, 2차전지, 에너지)공약별 수혜 예상 섹터와 주요 종목조기대선 공약과 관련된 투자 주의사항이재명 정책 테마주 Top Pick

oobillion.com

 

 

반응형